문자열
문자열이란 문자(특수문자 포함), 단어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프로그래밍에서 문자는 Character라 하며 문자열은 Character가 연속적으로 있는 배열로 본다.
문자열 사용하기
큰따옴표 또는 작은따옴표로 문자를 둘러싼다.
"Hello World"
'Hello World'
문자, 아스키코드
파이썬에서는 문자는 기본적으로 문자열인 str로 인식하며, 문자는 아스키코드로 변환할 때 사용한다.
var c = 'a'
#char to ascii
ord(c) # or ord('a') => 97
#ascii to char
chr(97) # => 'a'
연산자
- 문자열 + 문자열
- 두 문자열을 연결시킬 때 사용한다.
- 문자열 반복하기 (곱하기)
- 특정 문자열을 n번 반복할 수 있다.
- 곱셈을 할 때 반복횟수는 반드시 정수여야 한다.
print("Hello" + "World") # HelloWorld 로 출력
print("Hello World" * 10) # Hello World 10번 반복
문자열 인덱싱
문자열은 문자로 이루어진 배열이기 때문에 인덱스로 각 문자에 접근할 수 있다.
인덱스란 순서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0부터 시작한다.
s = "hello"
print(s[0]) #s[0]은 h
자주쓰는 API
Slice
- 문자열의 일부를 자르는 함수
a = "Hello World" # [{시작인덱스}:{끝인덱스}] print(a[1:4]) #ell # 끝인덱스를 넣치 않는 경우 끝까지 자름 print(a[1:]) #ello World # 시작인덱스를 넣지 않는 경우 처음(0)부터 끝인덱스까지 자름 print(a[:5]) #hello
Format
- 문자열에 변수값을 넣어 동적으로 문자열이 생성되도록 하는 함수 (변수를 대입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format 함수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
# 인덱스 이용 "{0} {1}".format("Hello", "World") # 변수명 이용 "{year}-{month}-{day}".format(year=2021, month=8, day=15)
Count
- 문자열 내 해당 문자열의 갯수를 세어주는 함수
a = "Hello World" print(a.count("o")) # o의 갯수는 2
Upper
-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환해주는 함수
"hello world".upper()
Lower
- 문자열을 소문자로 변환해주는 함수
"HELLO WORLD".lower()
Lstrip
- 왼쪽 공백을 제거하는 함수
" Hello World".lstrip()
Rstrip
- 오른쪽 공백을 제거하는 함수
"Hello World ".rstrip()
Strip
- 양쪽 공백을 제거하는 함수
" Hello World ".strip()
Replace
- 특정 문자열을 대체하는 함수
"Hello World".replace("Hello", "Hi") #Hi World
Split
- 구분자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누어 주는 함수
result = "Hello World".split(" ") #result는 길이가 2인 배열로 결과물이 담겨짐 #result[0] = "Hello" #result[1]= "World"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자료형 - 딕셔너리(Dictionary) (0) | 2021.10.03 |
---|---|
[Python] 자료형 - 리스트 (0) | 2021.09.29 |
[Python] 자료형 - 숫자 (0) | 2021.09.09 |
[Python] 변수 사용하기 (0) | 2021.09.07 |
[Python] 파이참(Pycharm) 설치하기 (0) | 2021.09.03 |